티스토리 뷰

728x90

공공(임대)주택 신재생에너지 지원 사업이 있습니다. 이전 명칭은 보금자리주택 신재생 보급 이란 사업이였는데요.

현재는 사업명칭이 변경되었습니다.

공공(임대)주탱에 신재생 에너지 설비를 지원하여 에너지 소외 계층에 대한 에너지 복지를 실현하는 사업입니다.

어떤사업인지 감이 안오시죠? 바로 사례먼저 알아보겠습니다.

 

1. 임대주택 신재생에너지 사업 사례알아보기.

지난 달에 "공공(임대)주택 신재생에너지지원"을 신청했는데 설치비용이 나왔습니다.

설치비용은 어떻게 쓰일까요?

  • 옥상에 소형풍력 발전기 설치가능
  • 태양광 설치 가능

이렇게 큰 틀로는 2가지 방식이 있고, 위에 시설 설치는 지원하는 방식입니다.

자 그럼 신재생에너지가 나에게 좋은건가?? 예를 들어 태양광시설을 설치해서 전기를 생산가헤 되면 

각 가정의 전기료 부담을 덜수 있습니다.

 

2. 지원대상

  • 공공(임대)주택인 경우에만 지원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전화문의가 빠릅니다. 
    한국토지주택공사 주택기술처 055-922-5344
    에너지관리공단 신재생 에너지통합콜센터 1855-3020

3. 선정기준

  • 한국토지주택공사 또는 지방 공기업을 대상으로 합니다.
  • 한국토지 주택공사나 지방 공기업이 사업계획서를 접수하면 해당기관에서 검토한 후 지원 여부를 결정하여 통보합니다.

4. 지원내용

  • 태양광,태양열,지열,연료전지,소형풍력 등 신재생 에너지 설비 설치비용 일부를 지원합니다.

5. 신청방법

  • 에너지 관리공단 부설 신재생 에너지센터에 신청합니다.
  • 지원절차
    다음과 같은 순서로 지원합니다.
    서비스 신청 -> 지원대상 여부 확인 -> 설치비용 지원

6. 관련 사이트

댓글